에티오피아 비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티오피아 비르는 에티오피아의 통화이다. 1894년 메넬리크 2세에 의해 처음 도입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변화를 겪었다. 1936년부터 1941년까지는 이탈리아 리라가 사용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동아프리카 실링이 통용되기도 했다. 1945년 비르가 재도입되었으며, 1976년에는 모든 언어에서 공식 명칭이 되었다. 2024년에는 변동환율제가 도입되어 외환 시장 개혁이 진행되었다. 비르는 100 산팀으로 나뉘며, 동전과 지폐가 모두 사용된다. 지폐는 여러 차례 디자인이 변경되었으며, 2020년에는 새로운 디자인의 지폐가 발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티오피아의 경제 - 에티오피아 국립은행
에티오피아 국립은행은 에티오피아의 중앙은행으로서 통화 및 신용 정책을 관장하고 은행 시스템을 감독하며, 1906년 아비시니아 은행에서 시작하여 에티오피아 은행을 거쳐 1943년 현재의 모습으로 재편되었다. - 아프리카의 통화 - 콩고 프랑
콩고 프랑은 벨기에 프랑과 동일한 가치로 벨기에령 콩고 등지에서 사용되다가 자이르화로 대체되었으나, 이후 재도입되어 현재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사용되는 통화로, 낮은 가치와 위조 문제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아프리카의 통화 - 나이지리아 나이라
나이지리아 나이라는 나이지리아의 통화로, 1973년 도입되어 나이지리아 파운드를 대체했으며, 나이지리아 중앙은행이 통화 정책을 관리하고, 2023년에는 통화 가치 급락을 겪었다. - 유통통화 - 부탄 뉘땀
부탄 뉘땀은 1974년부터 통용된 부탄의 통화로, 인도 루피와 1:1 비율로 고정되어 있으며 부탄에서 법정 통화로 통용되고, 1뉘땀은 100 체트럼으로 나뉘며, 부탄 왕립 통화청에서 지폐와 주화를 발행한다. - 유통통화 - 통가 팡가
통가 팡가는 1967년 통가 파운드를 대체하여 도입된 통화 단위로, 동전과 지폐로 발행되며 국왕의 초상과 통가 상징물을 특징으로 하고 통가 중앙은행이 공식 환율을 고시한다.
에티오피아 비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통화 이름 | 비르 |
로마자 표기 | Birr |
암하라어 표기 | ብር |
사용 정보 | |
ISO 코드 | ETB |
사용 국가 | 에티오피아 |
보조 단위 비율 | 1/100 |
보조 단위 이름 | 산팀 |
통화 기호 | Br |
사용되는 동전 | 1, 5, 10, 25, 50 산팀, 1 비르 |
사용되는 지폐 | 1, 5, 10, 50, 100, 200 비르 |
발행 기관 | 에티오피아 국립은행 |
발행 기관 웹사이트 | 에티오피아 국립은행 웹사이트 |
역사적 사용 (비공식) | |
비공식 사용 국가 | 에리트레아 케냐 소말리아 지부티 말라위 짐바브웨 |
경제 정보 | |
인플레이션율 | 15% (2017년 10월) |
인플레이션 출처 날짜 | 2008년 추정 |
2. 역사
19세기 후반, 타이와 일본, 한반도에서는 근대화 열풍이 불었다. 당시 아프리카 식민지(주로 영국령, 프랑스령, 포르투갈령, 독일령)들 역시 근대화가 진행되었다. 에리트레아는 1997년까지 비르를 사용하다가 낙파로 변경하였다.
이 내용은 주어진 원본 소스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으며, 하위 섹션의 내용과 중복되지 않도록 간략하게 요약되었습니다. 또한, 허용된 위키텍스트 문법만을 사용하여 작성되었고, 평어체를 사용하였으며, 한국어 및 한국의 관점을 반영하였습니다.
2. 1. 초기 비르 (1855년–1936년)
19세기 후반, 에티오피아 제국은 라이베리아와 함께 독립국으로서 근대화를 추진했다. 당시 에티오피아에는 국가에서 정한 화폐가 없었기에, 메넬리크 2세 황제는 자국 화폐 제도를 도입하고자 했다. 1894년, 비르가 에티오피아의 화폐로 정해졌고, 이 시기에 에티오피아 국립 은행이 설립되었다.[3]18세기와 19세기 에티오피아에서는 마리아 테레지아 탈러와 "아몰레 체우"(አሞሌ, amole tchew)라 불리는 소금 덩어리가 통화로 사용되었다. 탈러는 현지에서 "비르"(birr, '은'이라는 뜻) 또는 "탈라리"(ታላሪ, talari)로 알려졌다. 1855년 마리아 테레지아 탈러가 공식 표준 화폐로 채택되었지만, 인도 루피와 멕시코 달러도 외국 무역에서 사용되었다.[3]
1893년 2월 9일, 에티오피아 탈라리가 표준 통화 단위가 되었고, 1894년 파리 조폐국에서 메넬리크 2세를 위해 20만 개가 생산되었다. 마리아 테레지아 탈러와 같은 가치를 지닌 탈라리는 20개의 "게르시"(ghersh) 또는 40개의 "베사"(bessa, 작은 구리 동전)로 나뉘었다.
1903년경 새로운 에티오피아 화폐가 등장했다. 새로운 은화 비르는 탈라리와 같은 무게와 순도를 유지했지만, 1/4 비르와 은화 게르시(비르 무게의 1/16)가 있었다. 당시 계산 단위는 1 비르였고, 16 게르시 또는 32 베사와 같았다.
아비시니아 은행(에티오피아 은행의 이전 명칭)은 1905년 메넬리크 황제와 이집트 국립은행 뒤에 있는 유럽 은행 그룹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1906년 2월 15일 메넬리크 황제에 의해 공식적으로 개업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무렵, 은행은 여전히 매년 약 120만 개의 마리아 테레지아 탈러 동전을 수입하고 있었다. 아비시니아 은행은 1915년에 지폐를 유통시켰는데, 암하라어로 "비르", 영어로 "탈러"로 표기되었다. 이 지폐는 상인과 외국인들이 사용했지만, 처음에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러나 1925년 이후 지폐 유통량이 상당히 증가했다.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는 1931년 아비시니아 은행을 235000GBP에 매입하여 순수한 에티오피아 기관으로 만들고 에티오피아 은행으로 재편했다. 동시에 통화가 십진법으로 바뀌고 토큰 니켈과 구리 동전이 도입되어, 비르는 100 메토니아(metonnyas, 종종 마토나스로 표기)와 같아졌다. 지폐의 문구는 암하라어, 프랑스어, 영어로 표기되었다.
1930년대 중반까지 유통되는 화폐는 주로 마리아 테레지아 탈러와 메넬리크 탈라리였다.
2. 2. 이탈리아 리라 (1936년–1941년)
1936년 7월 15일,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를 점령하고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를 만들려는 시도 직후 이탈리아 리라를 도입했다. 에티오피아 지폐는 1탈라리(비르)당 3리라의 환율로 유통에서 회수되었다. 이탈리아는 지폐 사용을 늘리기 위해 은화(마리아 테레사 탈러)의 환율을 4.50리라, 5.00리라, 그리고 단계적으로 13.50리라로 인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에티오피아의 동전과 지폐를 계속 보관했다.[1]1936년 7월 15일 이후 이탈리아의 일반적인 동전과 이탈리아 은행의 지폐가 유통되었다. 1938년 9월 12일에는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를 위해 붉은색 덧찍음이 있는 특수 지폐가 승인되어 다량 인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특수 지폐가 언제, 어디서, 어느 정도로 실제 유통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1]
2. 3. 동아프리카 실링 (1941년–1945년)
동아프리카 전역 중이던 1941년, 영국군은 인도, 이집트, 영국, 그리고 영국 동아프리카 통화를 가져왔으며, 이 모든 통화가 공식적인 지불 수단으로 받아들여졌다. 50리라 이하의 이탈리아 동전과 지폐는 소액화폐로 계속 유통되도록 허용되었고, 고액권은 1실링당 24리라의 환율로 회수되었다. 마리아 테레사 탈러는 1실링과 10+1/2영어펜스(또는 45리라)의 가치로 유통이 허용되었다. 동아프리카 실링이 1942년 7월 1일 회계상의 통화가 되었고, 결국 유일한 법정통화가 되어 1945년까지 그 지위를 유지했다.[1]동아프리카 통화위원회의 일반 지폐가 에티오피아에서 유통되었다.[1]
2. 4. 현대 비르 (1945년–현재)
1945년 7월 23일, 1비르를 2실링으로 하는 환율로 비르가 재도입되었다. 미국 달러에 대해 1비르 = 0.4025달러로 고정되었다가 1963년 12월 31일, 2.50비르 = 1달러로 변경되었다.지폐에는 "에티오피아 달러(Ethiopian dollar)"라는 영어 명칭이 사용되었다. 비르는 100산팀(santim, 프랑스어 centime에서 유래)으로 나뉘었다. 1976년 비르는 모든 언어에서 공식 명칭이 되었다.
2. 4. 1. 2024년 변동환율제 도입
2024년 에티오피아는 외환시장 자유화를 포함한 개혁을 단행하여 에티오피아 비르(Ethiopian Birr)의 변동환율제 도입으로 이어졌다. 에티오피아 중앙은행(NBE)이 이 계획을 주도했으며,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국제 파트너들로부터 135억달러를 지원받았다.[1] 이 자금은 주로 국제통화기금과 세계은행과 같은 다자간 대출기관으로부터 제공되었으며, 유연한 환율제도 채택을 목표로 했다.[1] 동시에 에티오피아는 세계은행으로부터 직접 보조금, 부채 연장, 투자 약정을 포함하여 150억달러가 넘는 재정 지원을 확보했다.[1] 에티오피아 비르는 변동환율제 도입 후 일주일 만에 미 달러 대비 63%나 폭락하는 큰 하락세를 보였다.[1] 정부의 변동환율제 도입은 에티오피아 상업은행(CBE)과 민간은행들이 외환 환율을 빠르게 조정하는 등 불안정한 시기를 초래했다.[1] 에티오피아 상업은행이 제시한 환율은 일주일 전 미 달러당 57 비르에서 미 달러당 106 비르로 급락했다.[1]3. 동전
에티오피아 비르의 동전은 산팀(Santim) 단위로 발행된다. 1, 5, 10, 25, 50 산팀 동전이 있으며, 25 산팀은 "셈무니"라고도 불린다.
1931년에 50 메토냐스(Metonnyas, 마토나스(Matonas)로도 표기) 동전이 발행되었다.
최근에 발행된 동전은 다음과 같다.
종류 | 발행 년도 (에티오피아력) |
---|---|
5 산팀 | 1998년 (2006년) |
10 산팀 | 1996년 (2004년) |
25 산팀 | 2008년 (2016년) |
50 산팀 | 2008년 (2016년) |
1 비르 | 2008년 (2016년) |
동전에 표기된 날짜와 다른 표기들은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인 암하라어로 되어 있다.[3]
3. 1. 초기 비르
18세기와 19세기 에티오피아에서는 마리아 테레지아 탈러와 '아몰레 체우'(አሞሌ, amole tchew|아몰레 체우gez)라 불리는 소금 덩어리가 통화로 사용되었다. 탈러는 현지에서 "비르"(birr, birr|비르gez 또는 birr|비르am, '은'이라는 뜻) 또는 "탈라리"(ታላሪ, talari|탈라리am)로 불렸다. 마리아 테레지아 탈러는 1855년 공식 화폐로 채택되었지만, 인도 루피와 멕시코 달러도 외국 무역에서 사용되었다.[3]에티오피아 탈라리는 1893년 2월 9일 표준 통화가 되었고, 1894년 파리 조폐국에서 메넬리크 2세를 위해 20만 개가 생산되었다. 탈라리는 20개의 "게르시"(ghersh, 오스만 제국의 키르시에서 유래) 또는 40개의 "베사"(bessa, 작은 구리 동전)로 나뉘었다.
1903년경 새로운 에티오피아 화폐가 등장했다. 은화 비르는 탈라리와 같은 무게와 순도를 유지했지만, 1/4 비르와 은화 게르시(비르 무게의 1/16)가 있었다. 당시 계산 단위는 1 비르였고, 16 게르시 또는 32 베사와 같았다.
아비시니아 은행(에티오피아 은행의 이전 명칭)은 1905년 메넬리크 2세와 유럽 은행 그룹에 의해 설립되었고, 1906년 2월 15일 메넬리크 2세에 의해 공식 개업했다. 에티오피아 화폐는 점차적으로 수용되었고, 아비시니아 은행은 마리아 테레지아 탈러를 수입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무렵, 은행은 여전히 매년 약 120만 개의 이 동전을 수입하고 있었다. 아비시니아 은행은 1915년에 지폐를 유통시켰다. 이 지폐는 암하라어로 "비르", 영어로 "탈러"로 표기되었고, 상인과 외국인들이 사용했지만 처음에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러나 1925년 이후 지폐 유통량이 증가했다.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는 1931년 아비시니아 은행을 235000GBP에 매입하여 에티오피아 기관으로 만들고 에티오피아 은행으로 재편했다. 동시에 통화가 십진법으로 바뀌고 토큰 니켈과 구리 동전이 도입되어 비르는 100 메토니아(metonnyas, 종종 마토나스(matonas)로 표기)와 같아졌다. 지폐의 문구는 암하라어, 프랑스어, 영어로 표기되었다.
1930년대 중반까지 유통되는 화폐는 주로 마리아 테레지아 탈러와 메넬리크 탈라리였다.
1894년부터 1897년까지는 1/100 비르와 1/32 비르짜리 구리 주화와 1 게르시, 1/8 비르, 1/4 비르, 1/2 비르, 1 비르짜리의 은화, 그리고 1/4 베르크, 1/2 베르크, 1 베르크짜리의 금화가 도입되었다. 1931년에는 1 메토니아와 5 메토니아짜리 구리 주화, 그리고 10 메토니아, 20 메토니아, 50 메토니아짜리 니켈 주화가 새롭게 도입되었다.
3. 2. 현대 비르
1945년 7월 23일, 1비르를 2실링으로 하는 환율로 비르가 재도입되었다. 미국 달러에 대해서는 1비르 = 0.4025달러, 혹은 2.48447비르 = 1달러의 중심 환율로 고정되었으며, 1963년 12월 31일에 이 환율은 2.50비르 = 1달러로 변경되었다.지폐의 영어 표기에는 "에티오피아 달러(Ethiopian dollar)"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비르는 100산팀(santim)(프랑스어 centime에서 유래)으로 나뉘었다. 1976년 비르가 모든 언어에서 공식 명칭이 되었다.
1944년(에티오피아력 1936년)에 구리 1, 5, 10, 25 산팀과 은 50 산팀 동전이 발행되면서 화폐가 재도입되었다. 두 번째 시리즈는 1977년(에티오피아력 1969년)에 발행되었으며, 알루미늄 1 산팀, 황동 5, 10 산팀, 니켈도금동 25, 50 산팀, 그리고 이중금속 1 비르 동전으로 구성되었다.
가장 최근에 발행된 동전은 다음과 같다.
종류 | 발행 년도 (에티오피아력) |
---|---|
5 산팀 | 2006년 (1998년) |
10 산팀 | 2004년 (1996년) |
25 산팀 | 2016년 (2008년) |
50 산팀 | 2016년 (2008년) |
1 비르 | 2016년 (2008년) |
날짜는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인 암하라어로 표기되어 있으며, 다른 표기들도 마찬가지이다. 25 산팀은 "셈무니"라고도 불린다.
4. 지폐
에티오피아 제국 시대에는 모든 지폐에 하일레 셀라시에 1세 황제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었지만, 에티오피아 혁명 이후로는 특정 유명인의 초상은 지폐에 그려지지 않았다.
1997년 이후 순차적으로 발행된 지폐 시리즈는 다음과 같다.
액면 | 앞면 | 뒷면 |
---|---|---|
1 비르 | 소년 | Blue Nile Falls|청나일 폭포영어 |
5 비르 | 커피콩 수확 풍경 | 쿠두, 카라칼 |
10 비르 | 바구니를 짜는 여성 | 트랙터 |
50 비르 | 소를 이용해 밭을 가는 풍경 | 파질 게비 |
100 비르 | 현미경을 들여다보는 남성 |
2020년 이후 10 비르 이상의 지폐는 디자인이 새롭게 바뀌었고, 200 비르 지폐도 발행되었다.[5]
4. 1. 초기 비르
18세기와 19세기 에티오피아에서는 마리아 테레지아 탈러와 "아몰레 체우"(소금 덩어리)가 통화 역할을 했다. 탈러는 현지에서 "비르"(은) 또는 "탈라리"로 알려져 있었다. 마리아 테레지아 탈러는 1855년 공식적으로 표준 화폐로 채택되었지만, 인도 루피와 멕시코 달러도 외국 무역에서 사용되었다.[3]에티오피아 탈라리는 1893년 2월 9일 표준 통화 단위가 되었고, 1894년 파리 조폐국에서 메넬리크 2세를 위해 20만 개가 생산되었다. 마리아 테레지아 탈러와 같은 가치를 지닌 탈라리는 20개의 "게르시" 또는 40개의 "베사"(작은 구리 동전)로 나뉘었다.
1903년경 새로운 에티오피아 화폐가 등장했다. 새로운 은화 비르는 탈라리와 같은 무게와 순도를 유지했지만, 1/4 비르와 은화 게르시가 있었는데, 후자는 비르 무게의 1/16이었다. 그때의 계산 단위는 1 비르였고, 16 게르시 또는 32 베사와 같았다.
아비시니아 은행(에티오피아 은행의 이전 명칭)은 1905년 메넬리크 2세 황제와 이집트 국립은행 뒤에 있는 유럽 은행 그룹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1906년 2월 15일 메넬리크 2세 황제에 의해 공식적으로 개업했다. 아비시니아 은행은 1915년에 지폐를 유통시켰다. 이 지폐는 암하라어로 "비르"로, 영어로 "탈러"로 표기되었다. 이 지폐는 상인과 외국인들이 사용했지만, 처음에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러나 1925년 이후 지폐 유통량이 상당히 증가했다.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는 1931년 아비시니아 은행을 235000GBP에 매입하여 순수한 에티오피아 기관으로 만들었다. 에티오피아 은행으로 재편되었다. 동시에 통화가 십진법으로 바뀌고 토큰 니켈과 구리 동전이 도입되어 비르는 100 메토니아(마토나스)와 같아졌다.
1930년대 중반까지 유통되는 화폐는 주로 마리아 테레지아 탈러와 메넬리크 탈라리였다.
4. 2. 현대 비르
1945년 7월 23일, 비르가 재도입되었으며, 1 비르는 2 실링으로 고정되었다. 미국 달러에 대해서는 1 비르 = 0.4025 달러 (2.48447 비르 = 1 달러)로 고정되었다가 1963년 12월 31일에 2.50 비르 = 1 달러로 변경되었다. 지폐에는 "에티오피아 달러(Ethiopian dollar)"라는 영어 명칭이 사용되었고, 비르는 100 산팀(santim, 프랑스어 centime에서 유래)으로 나뉘었다. 1976년에 비르는 모든 언어에서 공식 명칭이 되었다.1945년 에티오피아 은행(Bank of Ethiopia)은 1, 5, 10, 50, 100, 500 비르 지폐를 발행했다. 1963년 7월 27일 제국 포고령 207호에 따라 에티오피아 국립은행(National Bank of Ethiopia)이 설립되었고, 1964년 1월 1일에 운영을 시작했다.[4] 1966년 에티오피아 국립은행은 지폐 생산을 인수하여 500 비르를 제외한 모든 액면가의 지폐를 발행했다.[5]
4. 2. 1. 1997년 이후 발행된 지폐
제국 시대에는 모든 지폐에 하일레 셀라시에 1세 황제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었지만, 제국 붕괴 이후로는 특정 유명인의 초상은 지폐에 그려지지 않는다.1997년 이후 순차적으로 발행된 지폐 시리즈는 다음과 같다.
액면 | 앞면 | 뒷면 |
---|---|---|
1 브르 | 소년 | Blue Nile Falls|청나일 폭포영어 |
5 브르 | 커피콩 수확 풍경 | 쿠두, 카라칼 |
10 브르 | 바구니를 짜는 여성 | 트랙터 |
50 브르 | 소를 이용해 밭을 가는 풍경 | 파질 게비 |
100 브르 | 현미경을 들여다보는 남성 |
또한, 2020년 이후 10 브르 이상의 지폐는 디자인이 새롭게 바뀌었고, 동시에 200 브르 지폐도 발행되었다.
4. 2. 2. 2020년 이후 발행된 지폐
2020년 9월 14일, 에티오피아는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해 10, 50, 100, 200 비르(birr)짜리 신권 발행을 발표했다. 10, 50, 100 비르짜리 구권은 12월에 화폐 가치를 상실했다. 연방 정부는 1,130억 비르(36억달러)가 은행에 신고되지 않고 숨겨져 있다고 보고했다. 연방 정부는 이 돈이 에티오피아의 현재 불안정의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 한 달 만에 에티오피아 은행들은 140억 비르(5억달러)를 시스템에 유입시켰으며, 이는 2020년 말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비 아흐메드 총리가 발표한 이 조치는 매점매석, 위조 및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부패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예방 조치로 보도되었다. 그는 또한 새로운 지폐를 인쇄하는 데 37억 비르(1.012억달러)를 사용했다고 언급했다. 기업과 개인은 최대 150만 비르(4.1만달러)까지 현금으로 인출할 수 있으며, 은행에서의 현금 인출액도 10만 비르(2737USD)를 초과할 수 없다. 5비르짜리 구권은 법정통화로 남아 있지만 동전으로 대체될 것이다.[5]2020년 이후 10 비르 이상의 지폐는 디자인이 새롭게 바뀌었고, 동시에 200 비르 지폐도 발행되었다.
5. 환율
2012년 3월 20일 현재 1달러는 4.7773 엔이었다.
6. 비르 기호
비르 기호에 대한 여러 제안이 있었는데, 대부분 게에즈 문자 ብ (bə)를 기반으로 한다. 한 제안된 기호는 왼쪽에 두 개의 가로선이 있는 ብ 문자로 구성된다.
참조
[1]
웹사이트
Ethiopia : Impacts of the Birr devaluation on inflation : 1
http://documents.wor[...]
[2]
서적
Aksum and Nubia: Warfare, Commerce, and Political Fictions in Ancient Northeast Africa
2013
[3]
간행물
The Trade of Central Ethiopia in th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www.jstor.org/stable[...]
1964
[4]
서적
The Banknote Book
http://www.banknoteb[...]
BanknoteNews.com
[5]
웹사이트
Ethiopia demonetized old banknote with new prints
https://www.aa.com.t[...]
2020-09-14
[6]
웹사이트
Update – Ethiopia.
https://web.archive.[...]
Nachthund.biz
2007-01-07
[7]
웹사이트
FXConverter - Currency Converter for 164 Currencies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http://documents.w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